전주 한옥마을에 위치한 대안예술공간 사용자공유공간 planC가 지난 9년간의 활동을 정리하며 ‘종료’의 시작을 알리는 첫 번째 기획전 《똑똑, 좋은 말씀 전하러 왔습니다》를 31일까지 개최한다. 공간은 오후 1시부터 오후 7시까지 휴관일없이 운영되며, 전시는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이번 전시는 ‘편지’와 ‘답신’이라는 형식을 매개로 작가·공간·관객 간의 ‘응답’ 관계를 시각화한다. 13회의 내부 회의와 2회의 공개 설명회를 거쳐 기획 과정 자체를 전시의 핵심으로 삼았으며, 관객은 전시장에 놓인 18개의 상자를 열어 참여 작가들의 ‘답신’을 직접 체험한다.
기획은 planC를 기반으로 결성된 독립큐레이터그룹 Clab이 맡았으며, 김계형·김광숙·김다이·김보미·김용수·김철규·무가지·민·박선영·박성완·송수연·윤대라·이홍규·정유리·정하영·지유·채리·최지영 등 18명의 작가가 참여한다. 전시는 전북특별자치도문화관광재단의 ‘2025 우수기획전시 지원사업’에 선정돼 지원을 받았다.
planC는 100년 된 일식가옥에서 ‘선언’과 기부를 바탕으로 운영되는 독립예술공간으로, 최대 10일 이내 사용 기간을 원칙으로 한 ‘공유 선언’ 아래 163개의 프로젝트를 진행해왔다. 생태예술과 사회적 예술로의 확장을 시도하며 다양한 예술가들의 실험과 자율적 활동을 지원해온 플랫폼이기도 하다.
공간 측은 “이번 종료전은 단순한 마감이 아니라 서로에게 보내는 편지이자 새로운 응답의 장으로서 미래를 향한 시도”라며, 대안예술공간이 사라져가는 현실 속에서도 다음 단계를 모색하려는 의지를 밝혔다.
전시는 ‘전시’라는 개념 자체를 재해석하며, 참여 작가들에게 구체적 지시 없이 ‘자율적 응답’을 요청하는 형식으로 진행됐다. 설명회는 일방적 안내가 아닌 ‘공개 회의’ 형식으로 열려, 관객이 회의 과정에 직접 참여하고 의견을 개입할 수 있도록 했다.
전시의 중심 장치는 참여 작가 18명의 ‘답신’이 담긴 상자들이다. 관람객은 상자를 여는 행위를 통해 작가의 기억과 감정, planC와의 관계를 마주하게 된다. Clab은 이번 전시를 시작으로 후속 기획전과 포럼, 그리고 planC의 운영 종료 시점인 12월에도 별도 프로그램을 이어갈 예정이다.
Shared workspace planC opens a special exhibition signaling the beginning of 'the end'
The alternative art space and user-shared space, planC, located in Jeonju Hanok Village, is holding its first exhibition titled "Knock Knock, I've Come to Deliver Good Words" until the 31st to summarize its activities over the past 9 years and announce the beginning of its 'closure'. The space operates from 1 p.m. to 7 p.m. without closing days, and the exhibition can be viewed for free.
This exhibition visualizes the relationship of 'response' between artists, the space, and the audience through the format of 'letters' and 'replies'. The planning process itself was made the core of the exhibition after 13 internal meetings and 2 public briefings, and visitors can directly experience the 'replies' of participating artists by opening the 18 boxes placed in the exhibition hall.
The planning was undertaken by the independent curator group Clab, based on planC, and 18 artists including Kim Gye-hyeong, Kim Kwang-sook, Kim Dai, Kim Bo-mi, Kim Yong-soo, Kim Cheol-gyu, Mu Gaji, Min, Park Seon-young, Park Seong-wan, Song Su-yeon, Yoon Dae-ra, Lee Hong-gyu, Jung Yu-ri, Jung Ha-young, Ji Yu, Chae-ri, and Choi Ji-young are participating. The exhibition was selected for support from the '2025 Excellent Planning Exhibition Support Project' of the Jeollabuk-do Culture and Tourism Foundation.
planC is an independent art space operated based on 'declarations' and donations in a 100-year-old Japanese-style house, and has carried out 163 projects under the principle of a maximum usage period of up to 10 days under the 'sharing declaration'. It is also a platform that supports the experiments and autonomous activities of various artists while attempting to expand into ecological and social arts.
The space stated, "This closing exhibition is not just a simple deadline but a letter to each other and a new space for response towards the future," expressing the intention to explore the next steps even as alternative art spaces are disappearing in reality.
The exhibition reinterprets the concept of 'exhibition' itself, proceeding in a format that requests 'autonomous responses' from participating artists without specific instructions. The briefings were held in the form of 'public meetings' rather than one-way guidance, allowing the audience to directly participate in the meeting process and intervene with their opinions.
The central device of the exhibition is the boxes containing the 'replies' of the 18 participating artists. Visitors face the memories, emotions, and relationships with planC of the artists through the act of opening the boxes. Clab plans to continue with subsequent exhibitions, forums, and separate programs even after this exhibition, leading up to the operational end of planC in December.
뉴스로 배우는 영어
📝 Summary:
The alternative art space planC in Jeonju Hanok Village is hosting its first exhibition called "Knock Knock, I've Come to Deliver Good Words" until the 31st. The exhibition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sts, the space, and the audience through the exchange of 'letters' and 'replies'. This exhibition marks the beginning of planC's 'closure' after 9 years of activities.
🗣️ Natural Korean Translation:
전주 한옥마을에 위치한 대안 예술 공간 planC는 "노크 노크, 좋은 말 전하러 왔어요"라는 제목의 첫 전시를 31일까지 개최하고 있습니다. 이 전시는 작가, 공간, 관객 간의 '편지'와 '답신'을 통해 관계를 시각화합니다. 이 전시는 9년간의 활동을 마무리하며 planC의 '종료'를 발표합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1. What is the title of the first exhibition being held at planC in Jeonju Hanok Village?
첫 전시의 제목은 무엇인가요?
2. How does the exhibition visua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sts, the space, and the audience?
전시는 작가, 공간, 관객 간의 관계를 어떻게 시각화하나요?
3. How many artists are participating in the exhibition at planC, and how were they selected?
planC의 전시에 참여하는 작가는 몇 명이고, 어떻게 선정되었나요?
💡 Vocabulary Learning:
1. alternative (대안, 명사)
- Offering or expressing a choice; different from the usual or conventional.
- 대안을 제공하거나 표현하는 것; 일반적이거나 전통적인 것과 다른 것.
- The alternative route was faster than the main road.
- 대안 경로가 본도로보다 빨랐다.
2. visualize (시각화하다, 동사)
- To form a mental image of something; to make something visible in the mind.
- 무언가의 정신적 이미지를 형성하거나 머리 속에 보이게 하다.
- She tried to visualize the scene from the book in her mind.
- 그녀는 책에서의 장면을 머리 속에서 상상해 보려고 했다.
3. autonomous (자율적인, 형용사)
- Acting independently or having the freedom to do so.
- 독립적으로 행동하거나 그렇게 할 자유를 가지고 있는.
- The team operates as an autonomous unit within the company.
- 그 팀은 회사 내에서 자율적인 단위로 운영된다.
4. intervention (개입, 명사)
- The action or process of becoming involved in a situation to alter or prevent a result.
- 결과를 변경하거나 방지하기 위해 상황에 개입하는 행동이나 과정.
- The teacher's intervention helped resolve the conflict between the students.
- 선생님의 개입으로 학생들 간의 갈등이 해결되었다.
5. reinterpret (재해석하다, 동사)
- To interpret or understand something in a new or different way.
- 새로운 방식이나 다른 방식으로 무언가를 해석하거나 이해하다.
- The artist chose to reinterpret the classic painting in a modern style.
- 그 예술가는 전통적인 그림을 현대적인 스타일로 재해석하기로 선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