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故고현철 국어국문학과 교수의 투신자살을 계기로 ‘총장직선제’ 유지를 택한 부산대 교수들이 120만원씩 갹출해 학교 재정에 보태기로 했다.
12일 부산대에 따르면 이 대학 교수 1190여명은 1인당 약 120만원씩 내놓기로 했다. 직선 총장을 뽑았다는 이유로 국비를 삭감한 교육부에 맞서 급여 일부를 내놓는 것이다.
총장 직선제를 요구하며 스스로 목숨을 끊은 고현철 국어국문학과 교수의 뜻을 받들고 국비 삭감 때문에 학생들이 입을 피해를 막기 위해 고통 분담을 자처하고 나선 것이다.
앞서 부산대는 11일 재정위원회를 열어 “교육부가 지난해 지원을 약속했다가 삭감한 18억7300만원 가운데 5억2600만원(28%)은 다른 사업을 축소해서 절감한 예산 등으로 충당하고 나머지 부족액 13억4700만원(72%)은 교육비로 마련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국회 교문위 소속 배재정 의원은 이에 대해 성명을 발표하고, 교육부에 재정 제재 철회를 요구했다.
아래는 배 의원의 성명서 전문(全文)이다.
교육부는 부산대학교에 대한 재정 제재를 당장 철회하라
교육부가 총장직선제를 고수한 부산대학교에 대해 지원예산을 반으로 줄이는 제재를 가하자, 부산대학교 교수 1190명이 1인당 120만원씩 갹출해 삭감액 18억 원을 채우기로 했다는 소식이다.
故고현철 교수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이어가는 부산대학교 1190명의 교수들께 진심어린 감사와 고개 숙여 송구함을 전한다.
그동안 국회에서는 총장선출방식과 재정지원을 연계하는 교육부를 지탄하고, 총장선출방식과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연계하지 못하도록 하는 교육공무원법 개정안도 발의한 바 있다.
그러나 교육부는 국회와 대학의 외침을 뒤로하고 결국 계속해서 돈줄로 대학을 길들이겠다는 뜻을 굽히지 않은 것이다.
앞으로 이 모든 일을 정상으로 돌려놓아야 할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후보자는 지난 7일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총장선거만큼은 간선제로 하는 것이 좋겠다”는 소신을 밝혀 청문회장을 술렁이게 만들기도 했다.
서울대학교 교수로서 동료 교수가 목숨과 맞바꾼 ‘대학의 자율성’과 ‘지성인의 양심’을 ‘사회부총리’ 자리와 맞바꾼 것이다.
‘간선제가 더 민주적이니 직선제를 법으로 금지하겠다’는 교육부의 억지춘향에 부화뇌동할 최적격의 인물이다.
이런 사람을 교육부장관에 앉히겠다는 정부를 보면서 국립대학 구성원들과 국민들이 느꼈을 좌절감과 분노는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대학의 자율성은 헌법에서 보장하고 있는 우리 사회의 기본적 가치이다.
누군가는 피 끓는 애절함으로 목숨까지 바친 일이다.
교육부는 당장 부산대학교에 대한 재정 제재를 철회하고, 더 이상 대학의 총장선출방식에 관여하지 말라.
2016년 1월 12일 국회의원 배재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