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교육청이 올해 예산에서 어린이집 누리교육과정예산을 단 한푼도 편성하지 않음에 따라 도내 1,620개 어린이집의 영유아 22,000여명은 안정적인 누리과정 교육을 받지 못하고, 보육교사 1,801명은 임금을 제대로 못 받을 심각한 위기상황에서 전북도가 우선적으로 3개월치에 해당하는 47억을 지원하기로 했다.
송하진 도지사는 18일 기자회견을 통해 "단기적으로라도 전국에서 유일하게 전북만 어떠한 대책도 서 있지 않는 상황으로 어린이집 누리과정이 중단될 수도 있는 보육대란을 우선 차단하고, 도내 어린이집만 손해를 볼 수 있는 안타까운 현실을 감안 했다"고 밝혔다.
이는 어디까지나 한시적인 긴급 지원책으로, 향후 교육부와 교육청이 상생 결단하여 이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이 하루빨리 마련될 수 있기를 고대한다고 밝혔다.
전북도청의 긴급지원이 발표된 다음날인 19일 오전에 전북교육청 김승환 교육감은 청와대 앞에서 누리과정의 중앙정부예산 지원을 촉구하는 1인 시위를 벌였다.
김 교육감은 이날 오전 9시부터 1시간 동안 청와대에서 ‘대통령이 약속한 누리과정 대통령이 책임져야 합니다. 교육감들과 대화해주세요. 긴급 국고 지원 만이 보육대란의 해결책입니다’라는 문구가 적힌 팻말을 들고 대통령과 정부의 무상보육 공약 이행을 촉구했다.
누리과정의 예산을 단한푼도 세우지 않은 교육청은 전북교육청이 전국에서 유일하며 전북도청이 긴급하게 지원하는 예산은 1월 부터 3월까지 해당하는 비용이다. 당장 전북교육청과 교육부의 갈등이 봉합되지 않는다면 4월 부터 또 다시 어린이집을 통한 영유아 (3~5세) 누리교육과정은 파행될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