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07-19 00:42:43

전북학교비정규직 800여명 파업


... 문수현 (2016-04-08 17:09:45)

전북 학교비정규직노동자들이 8일 총파업을 벌였다.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전북지부와 전국여성노동조합 전북지부는 8일 전북교육청 앞에서 조합원 8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정기상여금 100만원 쟁취, 모든 직종 고용안정, 처우개선 동일적용’ 등을 요구하며 연대 총파업 대회를 열었다.



노동자들은 투쟁결의문에서 “전북학교비정규직의 현실은 2015년과 똑같은 기본급, 각종 수당과 복지에 대한 차별, 끊이지 않는 고용불안, 직종간의 차별, 단시간노동자 차별 등”이라며 “이런 현실을 외면하고 정당한 처우개선요구를 무시하는 도교육청에 맞서 투쟁을 선언한다”고 밝혔다.

노동자들은 투쟁결의를 통해 “올해도 전북교육청은 예산이 없다, 계획이 없다, 안된다만 반복하며 시간끌기와 무책임으로 일관했다. 또한 업무폭탄에 골병드는 노동강도로 인원충원이 절실한 상황인데도 인원을 감축했다”면서 “도교육청은 이전보다 후퇴한 단체협약 교섭안을 가지고 나왔다”고 규탄했다.



전주의 한 중학교 급식실에 근무한다는 노동자는 “올 3월 전주 급식분과는 117명이라는 많은 숫자의 급식선생님들이 강제 전보됐다”면서 “15년 이상 근무한 결과가 고작 전보 1순위란 말이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낯선 환경과 새 작업시스템을 익히느라 선배들의 고충이 많고, 그 때문에 학교를 그만둔 사람이 있을 정도”라며 “10~20년 근무한 사람들 전보만 내지 말고 배치기준 환화, 근속수당 상한제도 폐지 등 제대로 대우해달라”고 호소했다.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은 방학 중 생계대책 마련도 촉구했다. 이날 단상에 오른 교육공무직본부 노동자는 “교육청은 우리에게 비정규직이라는 꼬리표를 달아놓고 정규직과 차별하고 있다. 방학 동안 한 달에 기껏해야 2~5일 근무한 시간에 한해 임금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노동자들은 한편 “학교비정규직의 미래를 걸고 4·13 총선에서 노동개악 세력을 심판하겠다”고 별렀다.

이들은 “박근혜정부와 새누리당은 2015년까지 정규직전환이라는 공약을 이행하기는커녕, 오히려 취업규칙을 맘대로 바꾸고 근무평가로 임금을 삭감하고 쉽게 해고할 수 있게 노동개악을 단행하고 있다”며 “노동개악, 교육개악을 추진하는 세력을 심판하고 다가오는 20대 국회에서 교육공무직법 제정을 위한 새로운 발판을 만들어내자”고 다짐했다.

이날 대회에는 전국여성노조 나지현 위원장과 공공운수노조 안명자 전국교육공무직본부장이 참석해 파업노동자들을 격려했다. 또 전교조 전북지부, 전북여성노동자회 등 지역 노동·사회단체들도 참여해 지지 의사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