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공무원노동조합 전북교육청지부(지부장 강주용 이하: 전북교육청 공무원노조)는 전북도 행정감사에서 막말논란과 문제점이 지적된 남생이 구매에 연루된 정병익 부교육감에 대해 도민과 교육가족에게 사과하고 스스로 사퇴할것을 요구했다.
농업계고 묘목장 지원사업으로 연간 7,910만 원이 지원되었는데, 이 예산은 학생들의 농업 실습을 목적으로 사용되어야 함에도 1,335만 원이 전용되어 학생들의 농업 실습과 관계없는 남생이 사육장 조성 사업 등에 사용됐다.
이런 문제점이 전북도교육청의 정병익 부교육감이 학교장에게 남생이 구입을 ‘권유’하면서 비롯됐다는 점이다.
전북교육청 공무원노조는 "관료조직에서 상급기관의 권력자가 일선 학교의 기관장에게 권유했다는 표현이 다분히 위력을 내포하고 있다"며 "매우 유감스러운 것은 구매 과정의 문제가 불거지는 가운데 그 원인을 제공한 부교육감의 책임이 학교장과 행정직원들의 문제로 전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북교육청 공무원노조는 이점에 대해 "일선 현장에서 행정실무자의 남생이 구매는 특별한 경우로 필요한 절차를 다뤄본 적이 없으며, 부교육감의 권유로 학교가 이를 따른 것 뿐인데 학교실무자의 ‘구입 책임 전가’로 비치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또한 "여러 차례 해당 실습장을 들러 확인하고 직접 방생하는 모습 등을 보여준 정병익 부교육감의 행태가 일반적이지 못하며 이는 ‘부당지시’를 포함한 공무원 행동강령 위반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자기만족을 위해 예산을 전용한 것이 아닌지에 대해 고위공직자로서 스스로 공직사회 청렴과 모범이 되지 못한 부교육감을 대상으로 전라북도교육청 행동강령 책임관인 감사담당관은 즉각 사안 조사를 하거나 감사원에 감사 요구를 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더불어 전북도의회의 전북도교육청 행정사무감사 중에 보여준 부교육감의 태도는 "심각한 노동 의식의 부재와 반인격적 행태"라고 비판했다.
부교육감이 도의원에 대한 신상 공격으로 "민주주의를 심각하게 훼손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사과는 하지 않고 ‘개인의 입장’이란 표현을 쓰며 스스로 노동자를 바라보는 편협하고 그릇된 시간을 드러냈다"고 비판했다.
전북교육청 공무원노조는 "정병익 전라북도교육청 부교육감은 이제라도 고위공직자로서 부적절한 자신의 행동에 대해 피해 당사자인 학생들과 교직원을 포함한 모든 교육 가족에게 즉각 사과하고, 스스로 물러나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