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교육대학교(박병춘 총장)는 지난 21일부터 교육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주최하는 ‘2025년도 전라⋅제주권-전북특별자치도 2차년도 늘봄학교 강사연수’ 심화 과정 연수를 시작했다고 23일 밝혔다..
전주교대 늘봄사업단(단장 최경은)에 따르면 이번 2차 년도 연수는 1차 년도 연수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교육프로그램 및 내용과 구조를 전면 수정·보완한 교육부 늘봄학교 강사연수 가이드안에 기반하여 새롭게 설계하였다.
기초과정과 심화과정으로 구분하여 2025년 여름과정, 2학기, 겨울과정, 2026년 1학기까지 봄과정으로 기초과정 5차 심화과정 총 16차에 걸쳐 운영되며, 학기중에는 주말에 방학중에는 주중, 내년 1학기에는 야간에 운영될 예정이다.
기초과정은 늘봄학교 프로그램 강사가 지녀야 하는 기본 역량 함양을 위한 강좌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이해 ▲전북형 늘봄학교 프로그램 설계 ▲안전사고 관리 및 지도 및 응급상황 대응 역량을 공통/선택으로 구성하고, 학생의 발달 특성에 따라 저학년과 고학년 2개의 선택 과정으로 구분하여 각각 수업 및 평가 운영 전략 등 총 13차시[비대면 1차시 포함]로 구성 운영한다.
심화과정은 1차년도 5개 분야 18개 영역을 강좌를 재구조화하여 7개 분야[체육, 문화예술, 인문사회, 창의과학, 기후환경, 사회정서, 교과교육] 16개 영역의 강좌[운동으로 만나는 신나는 놀이 세상, 춤으로 만나는 글로컬 세상, 한바탕 국악-한바탕 음악 한마당,마음을 잇는 아트브릿지,놀이로 만나는 전래동화, 세대를 잇는 우리 놀이, 에듀테크 활용 동화 만들기, AI융합놀이터 로봇만들기, 상상을현실로 AI⋅SW, 우리 마을과 지구를 지키는 생태시민,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꼬마 시민과학자, 환경건강배려의 쿠킹클래스, 쏘잉클래스, AI시대 후유증 치유센터,통계놀이터,영어놀이터] 로 다양화 했다.
기본과정(12시간)에서는 관련 교과 교육과정, 교과서, 교수 이론 및 현장에 적용 가능한 저학년-고학년 프로그램, 지도안 등의 교육사례를 공유하여 연수생들의 배경지식 함양에 중점을 두며, 고급과정은(12시간) 저경력반-고경력반 팀기반 프로젝트활동을 통해 자신의 수업을 직접 설계해보고 수업시연 및 피드백 등을 통해 연수생의 강의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한다.
지난 8월 30일과 9월 5일 진행된 1차 기초과정에는 주로 전북 지역의 현직 강사들이 참여하였으며,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유익한 연수였다”, “교재와 소통 방식이 좋았으며 기본 역량 향상에 큰 도움이 되었다” 등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박병춘 총장은 “늘봄학교는 단순한 돌봄과 방과후 프로그램의 결합이 아니라, 학교 교육의 본질과 지역사회의 교육 자원을 연계한 종합 교육프로그램”이라며, “초등교사 양성기관으로서의 역량을 바탕으로 우수한 강사 양성과 늘봄학교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 1차년도에 이어 2차년도 사업에서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늘봄학교 강사연수는 교육부 늘봄허브와 전주교육대학교 늘봄사업단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이수에는 전주교육대학교 총장명의 이수증이 발급되어 늘봄허브에 등록할 수 있다. 늘봄학교 강사로 활동 중이거나 희망하는 사람은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한편, 전주교육대학교는 1차년도 사업에서 우수 평가를 받았으며, 그 외에 전북형 늘봄학교 강사 양성 시스템 구축 사업이 추가로 ‘전북 글로컬대학30’에 선정되어 지속적으로 사업을 추진 중이다.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tart of Advanced Training Course for Instructors in the Second Year of Neulbom School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resident Park Byeong-chun) announced on the 23rd that it has started the advanced training course for the second year of the '2025 Jeolla⋅Jeju Region-Jeollabuk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Nulbom School Instructor Training Program' sponsor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since the 21st.
According to the Nulbom Project Team at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irector Choi Gyeong-eun), this second-year training program was newly designed based on the guide for the Ministry of Education's Nulbom School instructor training program, which was completely revised and improved in terms of existing educational programs, content, and structure, taking into account the results of the first-year training operation.
It is divided into basic and advanced courses, and will be operated over a total of 16 sessions including the summer session in 2025, the second semester, the winter session, and the spring session until the first semester of 2026. During the semester, it will be held on weekends, during vacations on weekdays, and in the evening in the first semester of next year.
The basic course focuses on cultivating basic competencies that Nulbom School program instructors should possess, with courses on understanding elementary school curricula, designing Jeollabuk-style Nulbom School programs, safety accident management and guidance, and emergency response capabilities, structured as common/elective courses. It is divided into two elective courses for lower grades and higher grades according to student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with a total of 13 sessions including classes and evaluations strategies for each [including one non-face-to-face session].
The advanced course has been diversified by restructuring the 18 areas of the 5 fields from the first year into 16 courses in 7 fields [physical education, cultural art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creative science, climate environment, social emotions, curriculum education].
In the basic course (12 hours), sharing educational cases such as relevant curriculum education, textbooks, teaching theories, and programs applicable to lower-grade and higher-grade students in the field, and lesson plans, with an emphasis on fostering participants' background knowledge. The advanced course (12 hours) aims to enhance participants' teaching abilities through team-based project activities for lower-experience and higher-experience groups to design their own classes, conduct teaching demonstrations, and receive feedback.
The first basic course held on August 30 and September 5 was mainly attended by current instructors in the Jeollabuk region, showing high satisfaction levels such as "It was a useful training that could be applied directly to practice," and "The textbook and communication methods were good and greatly helped in enhancing basic competencies."
President Park Byeong-chun stated, "Nulbom School is not just a combination of simple care and after-school programs, but a comprehensive educational program that connects the essence of school education and local community educational resources," and expressed his commitment to do his best in the second-year project following the first year for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excellent instructor training and Nulbom School based on the capacity a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The Nulbom School instructor training program can be applied for through the Ministry of Education's Nulbom Hub and the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Nulbom Project Team's website, and upon completion, a certificate signed by the President of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ill be issued for registration on the Nulbom Hub. Anyone currently working as a Nulbom School instructor or aspiring to be one can apply.
Meanwhile,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received excellent evaluations in the first-year project, and in addition, the establishment of the Jeollabuk-style Nulbom School instructor training system project was selected for the 'Jeollabuk Glocal University 30' and is continuously being promoted.
뉴스로 배우는 영어
📝 Brief Summary: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s launched an advanced training course for the second year of the '2025 Jeolla⋅Jeju Region-Jeollabuk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Nulbom School Instructor Training Program'. The program is designed to enhance the skills of instructors involved in the Nulbom School program, focusing on both basic and advanced training courses.
🗣️ Natural Korean Translation:
전주교육대학교는 '2025년 전라⋅제주지역-전라북도 특별자치도 눌봄학교 교사양성사업'의 둘째 해 고도화 교육과정을 시작했다. 이 프로그램은 눌봄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교사들의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초 및 고급 교육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1. What is the purpose of the advanced training course launched by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고도화 교육과정의 목적은 무엇입니까?
2. How many sessions will the training program include until the first semester of 2026?
이 교육 프로그램은 2026년 1학기까지 몇 차례의 세션을 포함하나요?
3. Who can apply for the Nulbom School instructor training program, and how can they do so?
눌봄학교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 지원할 수 있는 사람들은 누구이며, 어떻게 지원할 수 있나요?
💡 Vocabulary Learning:
1. advanced (고도화된, adjective)
- At the university, students can choose basic or advanced courses in various subjects.
- 대학에서 학생들은 여러 과목에서 기초 또는 고도화된 강좌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2. structure (구조, noun)
- The course has a clear structure with lectures, group activities, and assessments.
- 그 강좌는 강의, 그룹 활동 및 평가로 명확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3. curriculum (교육과정, noun)
- Teachers need to develop a curriculum that meets the needs of their students.
- 교사들은 학생들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합니다.
4. feedback (피드백, noun)
- Getting feedback from students helps teachers improve their teaching methods.
- 학생들로부터 피드백을 받는 것은 교사들이 가르치는 방법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5. promote (진행하다, verb)
- The university continuously promotes new educational initiatives to benefit students.
- 대학은 학생들에게 이익을 주기 위해 새로운 교육 계획을 계속해서 진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