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장관 최휘영)와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이하 코카카)는 지역 문예회관의 기획・제작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 문화예술 활성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2026년 문예회관 특성화 지원 사업’을 대폭 확대・개편해 추진한다. 2026년 사업 공모 접수는 25일부터 12월 23일까지 진행된다.
2026년 사업은 전년도보다 지원 규모가 크게 확대된다. 예산은 2026년 정부안 기준으로 기존 25억 원에서 100억 원으로 4배 증액되며, 선정 문예회관 수 역시 18개에서 90개 내외로 5배가량 늘어난다. 이는 전국 문예회관이 지역 공연예술 창작과 제작의 거점으로 기능하며 지속 가능한 창작 환경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기존의 신작 제작형과 브랜드 기획형으로 나뉘었던 이원적 지원 방식은 2026년부터 폐지된다. 앞으로는 별도의 지원 유형 없이, 신작 공연 제작뿐 아니라 기존 레퍼토리의 재공연, 공연 시리즈 또는 지역 축제의 신규 기획, 기존 브랜드 프로그램의 확대 등 폭넓은 기획이 가능해진다. 지원금은 최소 5천만 원에서 최대 2억 원까지 차등 지원된다.
공모는 전국 문예회관 등 공공 공연장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문예회관은 연극, 뮤지컬, 무용, 음악, 전통예술 가운데 한 개 장르를 선택해 특화된 브랜드를 구축하기 위한 계획을 제출해야 한다. 이번 사업은 문예회관의 기획력과 특성화 전략을 중심에 두고 있는 만큼, 단순 대관이나 초청 중심의 일회성 프로그램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다.
문예회관이 기획 단계부터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지역의 문화자원과 전문 인력을 활용해 지속 가능한 고유 공연 브랜드를 구축할 수 있는 계획에 대해 실질적인 지원이 이루어진다. 공연콘텐츠 창・제작 과정에서는 문예회관 소재 지역 예술단체와의 협업이나 자체 프로덕션 구성이 가능하며, 협업 시에는 사업계획서에 문예회관의 역할을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
Expansion and Revision of the '2026 Cultural Arts Center Specialization Support Project'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inister Choi Hwi-young) and the Korea Arts and Culture Associ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KOKAKA) are significantly expanding and restructuring the '2026 Arts Center Specialization Support Project' to enhance the planning and production capabilities of local arts centers and establish a foundation for activating local cultural arts. Applications for the 2026 project will be accepted from the 25th to December 23rd.
The 2026 project will see a significant increase in support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he budget will be increased fourfold from the existing 25 billion won to 100 billion won based on the 2026 government budget, and the number of selected arts centers will also increase by around fivefold from 18 to approximately 90. The focus is on transforming arts centers nationwide into hubs for local performing arts creation and production, creating a sustainable creative environment.
The dual support system that was previously divided into new production and brand planning types will be abolished starting from 2026. Moving forward, without separate support types, a wide range of planning activities will be possible, including new performances, re-staging of existing repertoires, new planning for performance series or local festivals, and expansion of existing brand programs. Grants will be differentially supported ranging from a minimum of 50 million won to a maximum of 200 million won.
The open call will target public performance venues including arts centers nationwide, and the arts centers must submit plans to establish specialized brands by selecting one genre from theater, musicals, dance, music, or traditional arts. As this project focuses on the planning capabilities and specialization strategies of arts centers, one-time programs focused solely on rentals or invitations are excluded from the support targets.
Substantial support will be provided for plans that enable arts centers to actively participate from the planning stage and utilize local cultural resources and professional manpower to establish sustainable unique performance brands. Collaboration with local arts organizations in the performance content creation and production process or the formation of in-house productions will be possible, and in collaborations, the role of the arts center must be clearly stated in the project plan.
뉴스로 배우는 영어
📝 Summar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the Korea Arts and Culture Association are expanding the '2026 Arts Center Specialization Support Project' to enhance local arts centers. The project will see a significant increase in budget and the number of selected arts centers. The focus is on transforming arts centers into hubs for local performing arts creation.
🗣️ Korean Translation:
문화체육관광부(최휘영 장관)와 한국예술문화협회(KOKAKA)는 지역 예술센터의 기획 및 제작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2026 예술센터 전문화 지원사업'을 확대하고 재구성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지역 공연예술 창작의 중심지로 예술 센터를 변화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1. What is the goal of the '2026 Arts Center Specialization Support Project'?
지원 사업의 목표는 무엇인가요?
2. How will the budget for the 2026 project chang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2026 프로젝트의 예산은 전년도와 비교해서 어떻게 변화하나요?
3. What types of planning activities will be possible without separate support types starting from 2026?
2026년부터는 별도의 지원 유형 없이 어떤 종류의 기획 활동이 가능할까요?
💡 Vocabulary Learning:
1. restructuring, 재구성, noun
- Changing the organization or structure of something
- 예를 들어, 회사의 재구성으로 많은 직원들이 전환될 것입니다.
- For example, many employees will be transitioned due to the restructuring of the company.
2. sustainable, 지속 가능한, adjective
- Able to be maintained at a certain rate or level
- 친환경 제품은 지속 가능한 소비를 장려합니다.
- Eco-friendly products encourage sustainable consumption.
3. collaboration, 협업, noun
- Working together with others to achieve a common goal
- 우리는 프로젝트에서 효과적인 협업을 보여야 합니다.
- We need to demonstrate effective collaboration in the project.
4. substantial, 상당한, adjective
- Large in amount, size, or importance
- 이 프로젝트에는 상당한 자금 지원이 필요합니다.
- This project requires substantial financial support.
5. differentiate, 구분하다, verb
- To recognize or express the difference between things
- 그들은 제품을 다양한 색상으로 구분합니다.
- They differentiate the products by various col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