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시도교육청들이 고3 등교와 맞물려 일선 학교에 내린 지침 내용들의 대부분 방향은 학생의 안전과 방역에 대한 가이드라인이다.
전북교육청이 고3 등교를 앞두고 내린 학사 및 교육과정 운영 지침에서 ‘학교의 자율에 맡긴다’는 입장이 타 시도교육청이 구체적인 방안과 방역대책을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한 것과 비교되며 빈축을 샀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전북의 도내 고등학교들 중에선 등교 첫날부터 보충수업과 야간자율학습까지 시행하는 경우도 있어 고3 학생들이 13시간 30분동안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어야 했다.
이를 안타깝게 생각한 한 고교 교사는 "군대의 화생방 훈련보다 더 견디기 힘든 일이다"라고 말했다.
전교조 전북지부는 5월 21일 “학생들이 학교에 머무르는 시간을 줄여야 한다”는 성명을 내고 야간자율학습을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또한, 고등학교 기숙사의 입소문제에 있어서도 “안전장치를 마련한 후 원거리 학생을 제외하고는 입소를 최대한 자제토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전북교육청이 충격적인 지침을 전북의 고등학교에 발송했다. 현직 교사들의 고3 보충수업시간 제한을 올해 말까지 없애버린 것이다.
해당 공문은 “학습 공백 장기화로 인한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학습 보충을 위하여 내부 강사의 1일 방과후학교 수업 시수 제한 지침 (현직 교원은 학기 중 주 15시간 이내에서 평일 2시간, 휴일 4시간 가능) 적용을 한시적으로 유보하오니 단위학교에서는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라는 내용이다.
공문 내용대로라면 야간자율학습 시간을 줄여 보충수업시간을 늘려도 된다는 것, 보충수업시간을 시수제한에 구애 받지 말고 늘려서 편성해도 된다는 말이다.
코로나-19 방역대책에 역행하는 전북교육청에 대한 논란과 비판은 언론을 통해서 수차례 지적되어 왔다.
김승환 전북교육감이 코로나 대응 초기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이 취한 마스크 무용론처럼 “마스크에 대한 과학적 이유를 대라”는 논란이 있었고 교육부의 개학연기에 대해서도 김교육감은 비판의 각을 세웠었다.
김승환 교육감은 “바이러스의 전파력은 인구밀집도와 직결된다는 것은 과학적인 진리이면서 동시에 하나의 상식에 속합니다"라며 ”툭하면 여론을 들먹인다”고 교육부의 개학연기 입장을 비판했다. 그러나 과거 2015년도에 발생한 메스르 사태 당시에 전북의 농촌마을 한곳에 확진자가 이동해오면서 봉쇄조치까지 되었던 사례가 있다. 김승환 교육감이 “툭하면 여론을 들먹인다”고 비판하지만 김 교육감이 툭하면 “과학적”표현을 일삼는 것도 과학적이지 못하다.
정부의 코로나 방역노력에도 불구하고 전북이 그나마 타 지역에 비해 청정지역이라는 안일함으로 전국적인 방역대응에 역행하는 전북교육청의 태도는 비난받아 마땅하다. 확진자 발생으로 방역을 최우선하고 있는 타시도 교육청과 달리 대학입시에 올인 해보려는 전북교육청의 이기적인 태도가 그동안 노력해왔던 방역을 무위로 돌리지 않을까 우려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