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는 정신질환자 회복과 자립 지원을 위해 전주역 앞 첫마중길에 회복지원공간인 ‘첫마중’(덕진구 백제대로 787, 2층)을 마련하고, ‘정신건강복지센터 기반 정신질환자 회복지원사업’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라고 14일 밝혔다.
회복지원공간은 시가 지난 1월 보건복지부·국립정신건강센터로부터 ‘정신건강복지센터 기반 정신질환자 회복지원사업’ 선도 지자체로 선정됨에 따라 마련된 것으로, 시는 공간 운영에 앞서 올 하반기부터 지역사회 내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정신질환자를 발굴해 △자립체험홈 운영 △맞춤형 자립지원서비스 제공 △자조모임 및 동료지원가 상담 등을 진행했다.
시와 전주시정신건강복지센터는 회복지원공간 ‘첫마중’을 통해 정신질환자가 지역사회에서 평범한 이웃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일상 회복을 위한 다양한 자립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이날 전주시 회복지원공간에서는 보건복지부와 국립정신건강센터가 주최·주관하고, 전주시와 경기 용인시, 강원 춘천시 등 6개 사업 추진 지자체가 참여한 가운데 ‘제5차 정신건강복지센터 기반 회복지원사업 협의회’가 열렸다.
이 자리에서 참석자들은 2022년 회복지원사업 추진상황과 내년도 추진방향 등을 공유하기도 했다.
한편, 정신질환자를 위한 회복지원사업으로는 △정신질환 당사자의 주도적인 자치활동을 보장하는 ‘회복지원공간’ 운영 △회복을 경험한 당사자가 상호 도움을 줄 수 있는 ‘동료지원가 활동 지원’ △직업체험 및 연습과정을 통한 ‘취업활동지원’ △자립을 원하는 정신질환자가 충분한 홀로서기 연습을 거쳐 독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자립체험홈’ 운영 △각종 맞춤형 자립지원서비스(일상생활지원, 건강관리지원, 방문형 가사지원서비스 등) △병원 및 시설 퇴원·퇴소자 지역사회 초기적응지원 △치료절차 보조 및 자원연계 등을 제공한다.
회복지원사업은 정신질환으로 병원 또는 시설 퇴원·퇴소 후 지역사회 복귀 및 독립생활에 도움이 필요한 전주시민이면 신청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사항은 전주시정신건강복지센터(063-273-6996)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김보영 전주시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지역복지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정신질환자를 발굴하여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실제 생활하는데 필요한 자립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역사회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신선 전주시보건소장은 “회복지원사업은 더불어 사는 삶 그 자체”라며, “인력과 전문성 등 전주시의 역량을 최대한 활용해 정신질환자가 지역사회 일원으로, 이웃으로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