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09-09 16:50:42

‘부안 격포리 페퍼라이트’, ‘부안 도청리 솔섬 응회암 내 구상구조’ 천연기념물 지정 예고


... 이병재 (2025-09-09 16:50:42)

IMG
국가유산청(청장 허민)은 9일 ‘부안 격포리 페퍼라이트’, ‘부안 도청리 솔섬 응회암 내 구상구조’를 국가지정유산 천연기념물로 지정 예고하였다.

‘부안 격포리 페퍼라이트’는 변산반도 서쪽 끝에 위치한 적벽강 해안가 절벽을 따라 상부의 곰소유문암층(화산암층)과 하부의 격포리층(퇴적암층) 경계 사이에 두께 약 1m 내외의 층이다.

페퍼라이트(peperite)는 화산암과 퇴적암이 파편처럼 한데 섞인 암석을 말한다. 뜨거운 용암이 물 또는 습기를 머금고 아직 굳지 않은 퇴적물을 지나가면, 용암의 열기로 퇴적물 내 수분이 끓어오르고 수증기가 폭발하면서 퇴적물과 용암이 뒤섞이고 굳어져 만들어지는데, 그 모습이 마치 후추(pepper)를 뿌린 것 같이 보인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지역은 페퍼라이트의 전형적인 특징과 형성과정을 보여주는 구조를 직접 관찰할 수 있는 대표적인 곳으로, 일반적으로 암석 경계를 따라 얇은 띠형태로 생성되는 페퍼라이트와는 달리 국내에는 보기 드물게 두꺼운 규모로 산출되어 지질유산으로서의 가치가 높다.

같이 지정 예고된 ‘부안 도청리 솔섬 응회암 내 구상구조’는 부안군 변산변 소재지로부터 남서쪽으로 6km 지점의 수락마을 앞바다에 있는 섬으로 썰물시 육지와 연결되는 곳이다.

솔섬은 후기 백악기(약 8,700만 년 전) 부안 지역 화산 활동으로 만들어졌고, 섬 상부에 서식하는 소나무로 인해 솔섬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낙조로도 유명한 지역이다.

솔섬 하부의 응회암 내에는 마치 포도송이와 같은 형태의 다량의 구상구조가 발견되는데 이는 국내·외에서 사례를 찾아보기 힘든 화산암 구조로 알려져 있다. 이 구상구조는 응회암이 단단히 굳기 전 열수(많은 유용광물이 녹아있는 뜨거운 용액)가 모암을 뚫고 지나가면서 열수 내 철산화물이 침전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이러한 독특한 화산암 구조를 볼 수 있는 솔섬 지역은 높은 지질학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국가유산청은 두 곳에 대하여 30일간의 예고기간 중 수렴된 의견을 검토하고, 자연유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천연기념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Buan Gyeokpore Pepperite' and 'Buan Docheong-ri Solseom Eunghwaeam Nae Gusanggujo' to be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s

On the 9th,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Director Heo Min) announced the designation of 'Peperite in Gyeokpo-ri, Buan' and 'Structures of Columnar Joints in Andesite at Solseom, Docheong-ri, Buan' as National Designated Natural Monuments.

'Peperite in Gyeokpo-ri, Buan' is a layer of about 1m in thickness located between the upper Gomsoyu Formation (volcanic rock layer) and the lower Gyeokpo-ri Formation (sedimentary rock layer) along the cliffs of the Jukbyeok River coast at the western tip of the Byeonsan Peninsula.

'Peperite' refers to a rock where volcanic rock and sedimentary rock are mixed like fragments. When hot lava passes through still unconsolidated sediments containing water or moisture, the heat of the lava causes the moisture in the sediment to boil and explode as steam, mixing and solidifying the sediment and lava, resembling the appearance of sprinkled pepper, hence the name.

This area is a representative site where the typical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process of peperite can be directly observed, and unlike the thin band-shaped peperite commonly generated along rock boundaries, the thick-scale production of peperite here is rare in Korea, making it highly valuable as a geological heritage.

The 'Structures of Columnar Joints in Andesite at Solseom, Docheong-ri, Buan', which was also announced for designation, is an island located in front of Suraek Village, 6km southwest from the location of Byeonsanbyeon in Buan County, connected to the mainland during low tide.

Solseom was formed by volcanic activity in the late Cretaceous period (about 87 million years ago) in the Buan area, and it is named after the pine trees that inhabit the upper part of the island, known for its beautiful sunsets.

Numerous structures resembling grape bunches are found in the andesite within the lower part of Solseom, a volcanic rock structure that is rarely seen domestically or internationally. These structures are formed when hot water (a solution containing many useful minerals) passes through the solidifying andesite, precipitating iron oxides, creating this unique volcanic rock structure. The Solseom area, where such distinctive volcanic rock structures can be observed, holds high geological value.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ill review the opinions gathered during the 30-day advance notice period for these two sites, and after deliberation by the Natural Heritage Committee, they are scheduled to be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s.

뉴스로 배우는 영어

📝 Summar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n Korea designated 'Peperite in Gyeokpo-ri, Buan' and 'Structures of Columnar Joints in Andesite at Solseom, Docheong-ri, Buan' as National Designated Natural Monuments. These sites showcase unique geological formations that are rare and valuable in Korea.

🗣️ Korean Translation:
한국 문화재청은 '부안 교포리 페페라이트'와 '부안 도청리 솔섬 안산암 열대절 구조'를 국가지정 천연기념물로 지정했습니다. 이들 사이트는 한국에서 희귀하고 귀중한 독특한 지질 형성물을 보여줍니다.

❓ Comprehension Questions:
1. What is 'Peperite in Gyeokpo-ri, Buan' and why is it significant?
'Peperite in Gyeokpo-ri, Buan'가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요?

2. Where is Solseom located, and what geological feature is unique about it?
솔섬은 어디에 위치하고 어떤 지질적 특징이 독특한가요?

3. How will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proceed with the designation of these sites?
문화재청은 이 사이트들의 지정을 어떻게 진행할 예정인가요?

💡 Vocabulary Learning:
1. designation / 지정 / noun
- the action of officially choosing or assigning something
- 공식적으로 선택하거나 할당하는 행위
- The designation of the new park was celebrated by the community.
- 새 공원의 지정은 지역 사회에서 축하되었습니다.

2. sedimentary / 침전성 / adjective
- relating to rock or minerals formed by the deposition and solidification of sediment
- 침전물이 침전하고 응고됨에 의해 형성된 암석이나 광물과 관련된
- Sedimentary rocks are often formed in layers over time.
- 침전성 암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층층이 형성됩니다.

3. solidifying / 응고 / verb
- making or becoming hard or solid
- 딱딱하거나 고체가 되도록 만들거나 되는 것
- The lava was slowly solidifying as it cooled down.
- 용암은 식어가면서 천천히 응고되었습니다.

4. precipitating / 침전 / verb
- cause (a substance) to be deposited in solid form from a solution
- (물질을) 용액에서 고체 형태로 침전시키다
- The cooling water precipitated salt crystals.
- 식어가는 물이 소금 결정을 침전시켰다.

5. deliberation / 심의 / noun
- long and careful consideration or discussion
- 긴 시간을 들여 신중하게 고려하거나 토론
- After much deliberation, they finally reached a decision.
- 많은 심의 끝에 그들은 마침내 결정에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