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가 2019년 국민 독서실태를 조사한 결과, 독서생활에 종이책 비중은 줄고 전자책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 따르면 성인의 종이책 연간 독서율은 52.1%였다. 독서율이란 지난 1년간 수험서, 잡지, 만화 등을 제외하고 1권 이상 책을 읽은 사람의 비율이다. 한 사람이 1년간 읽은 도서 권수인 독서량은 6.1권이었다. 2017년에 비해 종이책 독서율은 7.8%포인트, 종이책 독서량은 2.2권 줄어든 것이다.
전자책 독서율은 성인 16.5%, 학생은 37.2%로 2017년보다 각각 2.4%포인트, 7.4%포인트 증가하는 등 모두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특히 20~30대 중심으로 증가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도에 처음으로 조사한 오디오북 독서율은 성인은 3.5%, 학생은 평균 18.7%(초등학생 30.9%, 중학생 11.6%, 고등학생 13.9%)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종이책・전자책을 합한 독서율은 대학생 및 30대에서 소폭 증가한 반면 고령층과 소도시에서는 큰 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구체적으로 지난 2년 사이 연령대별 독서율(종이책+전자책)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대학생은 2.7%포인트, 30대는 2.0%포인트 증가한 반면, 50대에서 8.7%포인트, 60대 이상에서 15.8%포인트 하락했다. 지역 단위로는 대도시가 3.8%포인트 소폭 하락한 반면, 소도시는 15.1%포인트 하락해 상대적으로 하락폭이 컸다.
이번 조사에서 국민들이 독서하기 어려운 이유로 제일 많이 꼽은 것은 성인의 경우 ‘책 이외의 다른 콘텐츠 이용’(29.1%)이었다. 이는 2017년까지 가장 많은 사람들이 꼽았던 ‘시간이 없어서’를 밀어낸 것으로서, 디지털 환경에서의 매체 이용 다변화가 독서율 하락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임을 보여준다. 참고로 학생의 주된 독서 장애 요인은 2017년도와 동일하게 ‘학교나 학원 때문에 시간이 없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이 나왔다.
전체 성인의 평일 기준 평균 독서시간(종이책+전자책 독서시간) 곧 평일 하루 독서시간은 31.8분으로 2017년 대비 8.4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 독서율 및 독서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독서시간이 증가할 수 있었던 것은 책을 이용하는 독서자의 평일 독서시간이 2017년 36.7분에서 89.4분으로 2.4배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17개 광역 지자체별 5대 독서지표(종이책+전자책+오디오북 합산 기준 독서율, 독서량, 독서시간, 공공도서관 이용률, 독서 프로그램 참여율)를 분석한 결과, 2017년도에 5대 항목 모두 전국 평균을 상회한 서울을 포함해 인천(4대 항목 → 5대 항목), 제주(3대 항목 →5대 항목)가 모든 항목에서 평균치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반면 대전, 충남, 충북, 전남, 전북, 경남, 경북 등은 지난 조사와 비슷하게 주요 항목이 저조해 지자체별로 특화된 독서진흥시책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북은 거의 모든 항목에서 저조했다. 17개 시·도 가운데 연간 독서율 36.6%로 16위, 연간 독서량 3.4권으로 16위, 평균 독서시간 30.0분으로 7위, 공공도서관 이용율 6.2%로 17위, 독서 프로그램 참여율 0.0%로 역시 17위였다. 전북교육청과 전주시 등이 각종 독서진흥책을 쏟아내고 있는데, 이를 비웃는 결과다.
문체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두고 “매체 환경이 급속히 변화하는 상황에서 독서 진흥을 위해 늘어나는 비독자 인구를 줄이고 ‘습관적 독자’(1주일 1회 이상 책을 읽는 독서 인구)를 늘리는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특히 “비독자 편입 폭이 큰 고령층, 저소득층, 소도시 주민을 위한 맞춤형 지원과 전자책·오디오북 등 디지털 환경에 최적화된 독서기반 마련이 시급하다”고 결론지었다.
이 조사는 격년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2019년 12월 중순에서 2020년 1월 말까지 전국 단위로 실시됐다. 성인은 가구 방문을 통한 면접조사로, 학생은 학교 방문 조사 시 본인이 직접 설문지에 기입하는 방식으로 진행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성인 ±1.7%포인트, 학생 ±1.8%포인트이다.
조사에 참여한 인원은 만 19세 이상 성인 6천명, 초등학생(4학년 이상) 및 중・고등학생 3천 명이다.
‘2019 국민 독서실태 조사’ 보고서는 문체부 누리집(www.mcs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