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본(Bonn) 국제컨퍼런스센터에서 개최되고 있는 제39차 세계유산위원회(World Heritage Committee, 6.28~7.8)에서 현지시각 7. 4(토) 12시에 (한국시간 오후 7시) 익산, 공주, 부여의 ’백제역사유적지구(Baekje Historic Areas)’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최종 등재되었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1995년 석굴암, 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 등 3건이 처음으로 등재된 이래 창덕궁과 수원화성(1997년), 경주역사유적지구, 고창·화순·강화 고인돌유적(2000년),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2007), 조선왕릉(2009), 한국의 역사마을: 하회와 양동(2010), 남한산성(2014), 백제역사유적지구(2015)에 이르기까지 모두 12건의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되었다.
이번 등재 결정 과정에서 세계유산위원회와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 산하 자문기구로서 문화유산의 등재 여부를 위원회에 권고)는 동 유산이 한국·중국·일본 동아시아 삼국 고대 왕국들 사이의 상호 교류 역사를 잘 보여준다는 점, 백제의 내세관·종교·건축기술·예술미 등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백제 역사와 문화의 특출한 증거라는 점 등을 높이 평가했다.
‘백제역사유적지구’의 세계유산 등재는 우리나라 고대국가 백제의 역사와 문화가 아시아를 넘어 세계에 널리 알려질 기회가 될것이라 전망하고 있다,
특히 백제의 국가사찰인 익산의 미륵사지와 왕궁리 유적의 세계유산 등재로 문화적 가치의 평가 뿐만 아니라 관광산업 활성화와 우리 지역 문화유산이 문화강국으로서 국가 이미지 제고에 크게 기여할 수 있어 기대가 크다.

<백제역사유적지구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결정>
- 왼쪽부터 좌측부터 송하진 전라북도지사, 나선화 문화재청장, 안희정 충청남도지사, 나경원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
○ 【세계유산위원회】는 유네스코 세계유산(문화, 자연, 복합)목록 등재 여부를 최 종적으로 결정하는 정부간위원회(21개국으로 구성)로서, 우리나라는 2013~17년 임기 위원국(2013.11월 위원국 당선)으로 참여 중임.
※정부는 이번 위원회에 조태열 외교부 제2차관, 나선화 문화재청장을 공동수석대표로 외교부, 문화재청, 전북도(도지사 송하진), 충남도(도지사 안희정), 익산시(시장 박경철), 공주시(시장 오시덕), 부여군(군수 이용우),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이코모스한국위원회 등 100여명으로 구성된 대표단 파견.
○백제역사유적지구 유네스코 세계유산(8개소)
- (익산)미륵사지, 왕궁리유적/2개소, (공주)공산성, 송산리고분군/2개소, (부여)관북리유적과 부소산성, 정림사지, 능산리고분군, 나성/4개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