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경기·서울교육청 등에 이어 전북교육청도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는 공식 입장을 발표했다. 앞서 전북도의회도 지난달 22일 “국정화는 역사교육의 본질을 호도하고 있다”며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반대 결의안’을 채택한 바 있다.
전북교육청은 21일 성명을 내 “친일과 독재의 어둡고 아픈 역사를 제대로 가르치지 않는 교과서는 교과서가 아니라 정신적 독재의 선전물에 불과하다”면서 “정부는 지금이라도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포기하고 학교 교육에 끼치고 있는 해악을 거둬들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북교육청은 성명에서 “역사 교육의 목적은 역사적 사실을 해석하고 비판하면서 사회를 보는 안목을 갖도록 가르치는 것”이라며 “국가권력, 더 정확히는 정치권력이 역사교육을 독점해 교육을 통제하겠다는 것은 민주주의에 대한 중대한 도전”이라고 주장했다.
전북교육청은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대한 반대 입장 표명에 그치지 않고, 당장 국정화 저지를 위한 구체적인 행동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먼저 역사교과서 국정화 저지를 위한 민관협의체를 이른 시일 내에 구성하겠다는 입장이다. 협의체에는 역사교육 전문가, 교사, 시민단체, 학부모 등 각계 인사들이 참여하며, 도민을 대상으로 서명운동도 펼친다는 계획이다.
중‧고교 역사교과서 보조자료 개발 작업도 서두르겠다고 밝혔다. 올해 말까지 집필위원 선정을 마무리하고 내년 1월부터 교재 개발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도교육청은, 도내 역사교사와 역사학자가 대거 참여하는 만큼 2017학년도 국정 역사교과서가 단위 학교에 보급되는 시점에는 도교육청이 만든 보조교재도 보급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보조교재 활용 여부 등은 강제하지 않고 철저하게 단위학교의 자율적 판단에 맡길 것”이라고 덧붙였다.
교원들의 역사 전문성을 키우고 역사교육을 내실화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올해 11월 이후부터 운영되는 교원 연수과정에 역사 교과목을 편성하고, 역사 교사 연수, 다양한 공개 강좌 등을 통해 역사 전문성을 신장시켜 나가겠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