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05-12 09:57:27

영국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 교육공동연구원 (2019-05-20 02:45:41)

현재에도 2015 교육과정으로 진행되고 있고 현장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학생들의 적성과 진로에 맞는 학생 선택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을 목적으로 한 고교학점제가 2025년이면 본격 시행될 예정이다.

분명 가야할 길이기는 하지만 아직 가보지 못한 길에 대한 불안감과 과거의 교수-학습 형태애 의존하고자 하는 일부 보수적인 불손 세력들은 다양한 외국의 사례들을 언급하면서 까지 고교 학점제를 뒤흔들고 다른 대안들을 내놓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불안감!!!! 내신 평가를 어떻게 해야 하고 대학입시와 어떻게 연동되어야 하며 졸업 자격 고사는 또 실시해야 하는지. 그리고 일정 성취도를 갖추지 못한 학생들의 유급 및 재이수 문제 등 아직도 정책의 방향을 잡지 못하고 있는 현안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

가장 쉽게 먼저 다양한 외국의 사례들을 통해 우리 나라의 고교학점제가 가야할 방향을 모색해 보는 것도 지금 현재 우리가 가장 쉽게 할 수 있는 일이라는 판단으로 다양한 외국의 학점제 모습을 살펴보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당연히 외국의 사례를 살펴보는 것은 만변교사나 타산지석을 하지는 것이지 외국의 제도를 그대로 취하자는 것은 절대 아니다.

분명 우리가 아직 가보지 못한 길에 대해 이상향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도 분명히 있기 때문에 다양한 사례와 우리의 현실을 비교하면서 이상적이 아닌 합리적인 학점제릐 방향을 모색하는 데 조금이나만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여기 외국의 학점제 사례들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제작 보급한 학점제 도입을 위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 방안 연구(2018) 자료에 기반을 두고 있음을 밝혀둔다.

영국의 교육과정은 학제를 Key Stage로 분류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고등학교는 Key Stage 4와 Sixth Form이라고 불리는 대학 진학 준비 과정에 해당한다.

Key Stage 4와 Sixth Form은 각각 2년제로 운영되며 Sixth Form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은 Key Stage 4의 마지막 학년에 중등학교졸업자격시험(General Certificate for Secondary Education: GCSE)을 응시하여 통과 점수 이상 받아야 한다. 학생들이 대학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Sixth Form 과정에서 A Level을 응시하여 대학에서 요구하는 성적을 획득해야 한다(England, Department of Education, 2014).

양국의 학점제는 대학입시와 길민한 연관을 가지 우리나라의 현재 모습에 많은 대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고2학년 1학기에 졸업 고사를 실시한 후 본격 대학 입시를 위한 A Level에서 특정 대학을 입학 하기 위한 학점을 선택하여 학습하는 모습들을 볼 수 있다. 영국하면 가장 관심이 많은 옥스포드 대학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어떤 교육과정을 이수해야 하는지를 살펴보는 것만으로도 흥미로울 수 있다.

(1) 학점제의 정의 및 이수 시간

영국은 본 연구에서 정의하고 있는 학점제와 학점과 유사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영국 정부가 지정한 연간 수업일수는 190일이며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주당 수업 시간을 정한 기준은 없으며 학교장의 재량에 따라 결정된다.

(2) 수업 시간 및 일정

① Key Stage 4

Key Stage 4의 수업 시간과 일정은 학교에서 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 모든 학교에 적용되는 표준화된 시수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매주 동일한 수업 시간으로 운영되기도 하지만 주마다 수업 시간 수가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주간 실시하는 수업의 총 시수를 50시간이라고 가정할 경우, 첫째 주와 둘째 주가 동일하게 주 당 25시간씩 운영될 수도 있지만 약간은 탄력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동일한 과목의 수업 시간도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아래의 그림은 Castlebrook High School의 2주 단위 수업 시간을 요약하여 제시하고 있다.




Castlebrook High School에서 보듯이 10학년과 11학년의 주당 수업 시간을 일반적으로 25시간이라고 가정하였을 경우 각 학년별 연간 총 수업 시간 수는 950시간이고 추정할 수 있다. Key Stage 4에서 학생들이 2년간 이수해야하는 총 시는 1,900시간이다. 그러나 이 시간도 학교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② A Level
A Level에서는 학교의 자율성이 더욱 강조되기 때문에 수업 시간과 횟수 등이 학교마다 차이가 난다. Barnsley Sixth Form College의 시간표는 수업과 개별지도(tutorial) 그리고 자율 학습(prep)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업 시간은 15세션으로 60분 수업 4세션과 70분 수업 11세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업 시간은 주당 16시간 정도로 유추할 수 있지만 학생이 선택한 전공
과정에 따라 다르게 운영될 수도 있다. 아래의 그림은 Barnsley Sixth Form College의 수업 시간표 예를 제시하고 있다.




(3) 필수와 선택 과목 규정, 과목 선택권

① Key Stage 4

영국의 국가 교육과정은 Key Stage 4단계의 학생들이 반드시 이수해야하는 필수 과목과 선택 과목을 규정하고 있다. 필수 과목은 핵심 과목(Core subject)과 기초 과목(Foundation subject)으로 구분된다. 핵심 과목은 영어, 수학, 과학이며 기초 과목은 computing, citizenship, 체육이다. 또한 학생들은 교육과정이 제시하고 있는 각각의 선택 과목군에서 최소한 한 과목을 수강하여야 한다. 종교와 성교육 과목도 학생들이 반드시 이수해야 한다.
아래의 그림은 교육부가 제시하는 Key Stage 4의 필수와 선택 과목이다.




일선 학교는 국가 교육과정이 Key Stage 4 단계에 개설하도록 제시한 과목을 중심으로 과목을 개설하고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표 Ⅳ-1-24>는 Sidcot School에서 개설한 GCSE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개설한 과목을 보여주고 있다.





Key Stage 4의 학생들은 자신의 흥미와 필요에 따라 선택 과목군에서 과목을 선택할 수 있는 반면, Sixth Form 과정에서는 학생들이 자신이 진학하고자 하는 대학이나 학과에서 제시하는 과목을 중심으로 전적으로 자신이 과목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옥스퍼드 대학교는 입학을 원하는 학생이 A Level에서 수강해야 하는 과목과 학점을 제시하고 있다. 화학과의 경우 화학과 수학은 필수 과목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다른 과학 과목 또는 심화 수학을 추천 과목으로 정하고 있다. A Level에서 3 과목에 대한 점수를 요구한다. 요구되는 점수는 A*A*A이며 이중 과학과 수학 과목에서 A*가 필요하며 다른 과목에서는 A를 받아야 한다. 아래의 그림은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제시하는 A Level 입학에 필요한 과목과 학점이다.




학생들은 2년 과정 중 보통 첫 번째 해인 AS Level에서는 4과목을 수강하고 두 번째 해인 A2에서는 3과목을 수강한다. 다음은 Sidcot School에서 A Level 과정을 위해 운영하고 있는 과정이다.




A Level은 학교의 자율과 학생의 선택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국가에서는 수업의 목표, 내용 등에 관한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과목에서 주안점을 두어야 하는 내용과 지식을 제시하고 있다. [그림 Ⅳ-1-9]는 영어 국가교육과정에서 영어교과에 제시하는 내용을 보여주고 있다.




(4) 이수 기준 및 졸업 기준과 평가
① Key Stage 4의 GCSE
GCSE 시험은 의무교육의 마지막 해에 학생들이 응시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Key Stage 4 단계에서 2년간 공부하고 11학년 그리고 보통 16세에 시험을 응시한다. 그러나 GCSE는 자격시험의 시험이기 때문에 반드시 11학년에만 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시험은 1년에 두 번 실시된다. 5월∼ 6월에 실시되는 시험에는 전과목이 시행되면 하반기에는 일부 과목만이 시행된다. A Level이나 IB diploma과정에서 공부하기를 원하는 학생은 GCSE가 필요하다.
GCSE는 외부 시험기관이 주관하며 2017년에 개정되어 새로운 형식으로 시험이 시행 된다. 특히 개정 이전의 등급은 A*에서 G까지인 반면 개정된 등급은 9부터 1까지이며 9가 가장 높은 성적이다. 세부화된 등급으로 인하여 성적을 더 정교하게 구분할 수 있게 되었다.
GCSE 시험 출제 주관 기관 중의 하나인 Edexcel: Edexcel Foundation은 9급등화를 통해 평가의 신뢰도와 정확도 등을 제고하였다고 평가하면서 다음과 같이 기존의 등급과 개정된 등급을 비교 분석하고 있다.




개정된 GCSE는 등급별로 성취수준을 구체적으로 진술하고 있다. 다음은 또 다른 GCSE 주관 기관 중의 하나인 OCR (Oxford Cambridge and Risa)의 고대사 시험의 8등급과 5급의 성취수준에 대한 진술이다.





② A Level
영국에서 대학에 입학할 때 필요한 성적 중의 하나는 A Level의 성적이다. 성적은 A Level 2년 과정 중 매해 말에 실시하는 평가와 학교에서 수시로 시행하는 수시 평가로 결정된다. 매 학년말에 실시하는 평가는 학교가 외부 시험기관에 위탁하여 진행한다. Sidcot School의 Languages과정은 불어, 독어, 그리고 스페인어 과목을 운영하고 있으며 AQA를 외부 시험기관으로 선정하고 평가를 시행한다. 다음은 Languages 과정의 평가에 대한 개요이다.




외부 시험기관이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전공의 특성과 학교의 상황 등을 고려하여 평가 방법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Sidcot School의 위탁 기관인 AQA가 Farnborough School의 Environmental Science 과정의 학생들을 평가할 때 적용하는 평가 방식과 구성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림 Ⅳ-1-13]은 Farnborough의 A Level 평가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5) 미도달자: 재시험 기회
① GCSE
GCSE 시험에서 A Level 입학에 필요한 점수를 받지 못하는 경우에 학생들에게 재시험의 기회가 제공된다. 재시험을 응시하는 학생은 영어시험은 11월에 그리고 수학은 1월에 응시할 수 있다. 몇몇 학교는 GCSE에서 떨어진 학생들에게 재응시를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예를 들어, Kingston College는 GCSE에서 원하는 성적을 얻지 못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 프로그램은 국가에서 제시하는 필수 과목과 국가 교육과정에는 없지만 GCSE시험에는 있는 영화영상학도 가르치고 있다. 학교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이전에 응시했던 시험에서 최소 D를 4개 이상 받아야 한다. 학생들의 시험 통과를 돕기 위해 학교는 프로그램 내내 개인 튜터가 학생들의 학습을 돕도록 하고 있다(Kingston College, 2018).

② A Level
A Level 시험에서 대학이 요구하는 성적을 얻지 못한 학생들은 대학의 수준을 낮춰서 진학하거나 A Level을 다시 응시할 수 있다. 몇몇 학교에서 A Level을 재응시하는 학생들에게 재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Mander Portman Woodward School은 A Level 정규과정과 재응시과정을 동시에 운영하고 있다. 재응시 과정은 1년 과정과 단기 과정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학생의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Mander Portman Woodward School, 2018). A Level에서 원하는 성적을 얻지 못하는 학생은 Sixth Form College에서 졸업증(diploma)대신 수료증(a school-leaving certificate)을 받는다(Campion College의 홈페이지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