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는 학부모 기자회견이 2일 오전 전북교육청 기자실에서 열렸다. 이날 회견은 전북지역 학부모 1870명 명의로 이뤄졌으며, 지난달 26일 전북지역 역사교사 105명이 국정교과서 제작 참여 거부를 선언한 이래 6번째로 이루어진 릴레이 기자회견이다.
참교육 학부모회 전북지부와 평등교육 실현을 위한 전북학부모회, 전북 혁신학교 학부모회 등 전북지역 3개 학부모단체 관계자 20여명은 2일 회견에서 “역사교과서 국정화 시도는 명백한 역사적 퇴보이며 편향된 역사관을 주입시키고자 하는 매우 위험한 발상”이라며 “강력한 저지 운동을 펼쳐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한국사 국정화는 역사적 정당성을 확보하지 못한 정권이 미래세대의 역사교육을 독점해 정권 재창출의 도구로 이용하겠다는 정치적 계산에 의한 역사 쿠테타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어 “역사교과서를 국정화하려는 의도는 명맥하다”며 “항일 독립운동을 부정하고, 친일을 미화하고, 이승만·박정희에 대한 부정적 평가를 삭제하고, 북한에 대한 증오를 증대시키고, 박정희의 경제발전은 부각하고, 인권유린은 감추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아이들이 친일-독재 미화 역사수업을 거부하고 제대로 된 역사교과서로 수업을 받을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 투쟁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전북역사교사모임과 전북사학회, 전북지역 교수 등 400여명이 지난달 21일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면서 집필 거부 등응ㄹ 선언했다. 또한 이보다 앞서 같은 달 14일 전북지역 교사 226명이 한국사 국정화 반대를 선언하는 기자회견을 전북교육청 기자실에서 연 바 있다.
한편 역사교과서 국정화가 이르면 3일 확정 고시될 것으로 보인다.
중학교 ‘역사’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를 국정으로 발행하는 내용의 ‘중·고등학교 교과용도서 국·검·인정 구분(안)’의 행정예고 종료 시점은 2일 밤 12시까이고, 교육부는 행정예고 기간이 끝난 뒤 5일 관보에 교과서 국정화 안을 확정 고시한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교육부는 당초 일정보다 앞당겨 고시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승복 교육부 대변인은 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당초 지난달 12일 국정화 계획을 행정예고하면서 밝혔던 대로 5일 확정 고시할 예정이었으나 일정이 하루 이틀 당겨질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국정화 관련 혼란을 하루라도 빨리 끝내자는 차원이라는 설명이다. 하지만 첨예하게 논란이 되고 있는 사안이 쉽사리 봉합되기는 어려워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