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NGO인 전북교육자치시민연대는 10일 교육감 후보들에게 오는 6월 13일 지방선거를 앞두고 ‘해결해야 할 전북교육 의제들’을 제안했다.
단체는 먼저 자치단체와 교육청 사이 소통 상설기구 구성과 내실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도내 14개 시군의 교육 지원 사업 규모는 천차만별이어서, 학생들이 차별없이 고른 혜택을 받게 하는 건 기관 간 소통의 몫이라는 것. 그런 소통은 교육청이 앞장서라는 주문이다.
다음은 학교폭력심사위원회에서 해마다 500건 이상 발생하는 전북의 학교폭력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는 것. 그 심각성을 인지하고 학교, 도교육청, 지역사회가 보다 철저하고 세밀한 접근을 통해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는 제안이다.
단체는 이어 전북교육청 인권정책을 상징하는 전북학생인권교육센터의 부실 운영에 대한 해결책 마련을 촉구했다. 지난해 발생한 故송교사 자살 사건, 가편집된 허위문서를 국정감사에 제출한 사건 등은 센터 운영의 심각한 허점이 드러낸 사례. 감시장치를 마련해 센터 본연의 임무에 충실하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성 비위 교사 학교 퇴출 역시 큰 과제다. 성범죄를 저지르고도 법의 사각지대를 통해 다시 학교현장으로 돌아오는 교사들이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 학생들에게 주는 교육적 효과와 학교현장의 분위기 쇄신을 위해서라도 교사들이 실제 성범죄와 연루된 사실이 확인된다면 다시는 학교현장에 설 수 없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전북교육자치시민연대 박연수 사무국장은 “이번 전북 교육감 선거는 7명이 예비후보 등록을 한 상태로, 어느 선거보다 더 열띤 양상을 보이고 있다”며 “후보들이 주요하게 다뤄야 할 최소한의 의제를 선정해 제안하게 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