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영 전북교육감 후보는 29일 “정당성 없는 김승환 후보 지지 선언의 진상을 밝힌다”는 제목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 후보는 “지난 5월 23일 ‘전북 시민사회 1만인, 김승환 지지 선언’은 절차적 정당성이 결여되고 도덕적 정당성마저 상실한 조악한 지지 선언이라는 것이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이 후보 측은 29일 전북교육청 기자실에서 송병주 선거대책본부장 주도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번 지지 선언에 참여한 명단을 살펴본 결과, 당사자 확인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는 수많은 정황들이 나타났다. 더구나 개인 전화번호에 있는 이름을 베껴 쓴 것으로 보이는 문제도 드러났다”며 “이에 명확한 해명과 근거를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아울러 김승환 후보 지지 선언에 참여한 인사가 속한 단체의 ‘후보자 초청 토론회’는 공정성이 심각하게 훼손된 것으로, 이미영 후보는 이러한 토론회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무리한 명단 취합의 정황’ 사례로 전화번호부에서 따온 명단으로 의심되는 상호나 호칭, 흔하지 않은 이름이 나란히 2~3회 적혀있는 점, 공무원이나 방송인으로 추정되는 이름이 1만인 선언자 명단에 포함된 점을 들었다.
이 후보는 특히 “선언 참여 거부 의사를 밝혔는데도 명단에 포함된 경우도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이미영 후보는 이른바 ‘민주진보후보’ 추대 과정도 문제 삼았다. 시민사회단체 내부에서 ‘김승환후보 3선 추대 반대’에 대한 거센 반발에도 불구하고 개인들의 지지 선언 형식을 빌려 이른바 ‘시민사회 1만인 지지선언’이 진행되었다는 주장이다.
또 “단체의 구성원들의 열띤 토론과 후보에 대한 평가와 검증이 선행되어야 하지만, 단체 중심의 논의로 진보후보를 결정한 다른 지역과 달리 전북지역은 민주노총과 전교조를 중심으로 진행됨으로써 민주적이고 광범위한 시민사회 논의를 거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 후보는 “저는 30년 교육시민운동 활동을 해오면서 지역의 수많은 활동가들과 손을 잡고 함께 일해 왔다”면서 “그러나 선거 과정에서 진영 논리에 빠져 시민사회단체 내부의 다양성을 무시하고 절차적 정당성마저 결여된 일부 단체의 무리한 정치적 행보가 민주화 운동에 앞장서왔던 시민사회단체의 명예와 도덕성을 훼손하는 것에 대해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