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LOGO
최종편집: 2025-05-12 09:57:27

900억 규모, 전북 초중고 스마트기기 보급에 특정 OS 기종 ‘못 박기’ 논란


... 임창현 (2023-04-18 16:14:44)

IMG
타 교육청 노트북 VS 타블렛 PC 규정 논란 이후 조달청 입찰 취소 공고

전북교육청은 총예산 2천억원대(초등456학년, 중학교123학년, 고등학교 123학년) 규모의 전북 초중고 스마트기기 보급사업 1차 사업분인 900억원 규모(초6,중1,고1,2)의 사업자 선정을 위해 제안요청서를 발표했다.

이번 사업에서는 757개 학교 중에 초등학교는 17,122대의 네이버의 웨일북과 중고등학교에 보급예정인 MS OS의 노트북 48,255대, 스마트 기기 충전보관함 3,090대를 보급하게 된다.

전북도의회 교육위원회 소속 한정수 도의원(익산 4)도 지난 4월 10일 제399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전북도교육청이 추진하는 학생 1인 1 디지털 디바이스 보급 사업이 교육 현장의 목소리를 충분히 담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 의원은 "연말과 연초 두번의 공청회를 실시했지만, 교육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기보다는 스마트 기기 보급의 필요성만 강조하고 있다"면서 "학교와 교사, 학생과 학부모 등 충분한 의견수렴 없이 도교육청이 일괄 모델을 선정하고 구매하는 방식만 봐도 교육 현장의 소리를 경청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선정회의에서도 OS 못박아 놓고 추진하는 문제점 지적 나와

지난 3월 7일 스마트 기기 물품규격 선정회의에서 전북교육청은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은 처음부터 규정해놓고 하드웨어적인 요소에 대해서만 안건을 상정하는 것에 대해 일부 선정위원이 문제점을 지적했다는 후문이다.

실제로 학교 현장에서 특정 OS기종 선정에 대한 의견수렴 과정은 없었다. 수업을 직접 책임져야할 교사들에게 묻지도 않았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선호도 조사를 했다고 하지만 19만명의 학생들 중에 몇 명이나 조사를 했는지 밝혀야 한다. 그리고 일부 학생들을 상대로 타블렛과 노트북 선호도 조사만 해놓고 학생들이 ‘초등학교는 타블렛PC, 중고등학교는 노트북을 선호하여 선택했다’는 전북교육청의 입장이 있었다.

이 와중에 지난 15일 전남교육청에서 타블렛 PC의 범주에 웨일북, 크롬북, MS노트북이 포괄적으로 포함되는지에 논란 후에 조달물자 입찰 취소공고가 났다. 전남교육청의 사업재검토에 따른 이유로 입찰공고를 취소공고 했다.

전북교육청, 타블렛 PC공급한다면서 노트북 사양의 웨일북 사양 못박아

전북교육청 또한 초등학교는 타블렛PC, 중고등학교는 노트북을 진행계획을 세워 놓고도 초등학교 타블렛 PC를 노트북 사양의 기준으로 웨일북을 지정했다. 타블렛 PC와 노트북은 엄연하게 다른 개념이다. 화면과 키보드가 일체형이면 노트북이고 그렇지 않고 터치에만 의존하고 키보드가 별도의 보조 수단으로 존재한다면 타블렛 PC에 해당한다.

전북교육청이 사업공고한 웨일북 사양은 누가 봐도 노트북 사양의 웨일북이며 조달청에서도 웨일북, 크롬북은 아직까지 노트북으로 분류하고 있다.

전북교육청이 사업추진 및 예산상에 초등학교는 타블렛PC로 해놓고 노트북 하드웨어 사양의 웨일북을 추진하는 것은 예산항목에 문제가 발생한다. 3월 7일 전북교육청 관계자는 “도의회에서 초등학교는 타블렛 PC로 예산을 승인받았기 때문에 노트북은 안된다”는 답변을 내놓은 바 있다.

그리고 서울시교육청 학교 스마트기기 보급 수량을 보면 학교수 434개교에 안드로이드 44,718대, 크롬북 21,196대, Windows 14,110대, iOS 10,696대, 웨일북 1,869대 이다. 서울시교육청의 공급률의 단적인 예를 들어 본 것이지만 웨일북의 공급수량은 타 OS기종에 비해 현저하게 차이가 난다.

한정수 도의원이 말한 “학교현장의 목소리를 경청하지 않았다”는 지적처럼 전북교육청이 OS기종을 초등학교에서 웨일북으로 못박아 놓고 추진하는 것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불만과 크롬북을 선호하는 중등 교사들이 중고등학교에서 MS OS기종의 노트북으로 결정한 것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그동안 본 사업을 위해 전북교육청이 공청회도 2회 진행했지만 실제 구체적인 기기선정에 대한 의견수렴도 없이 스마트기기 활용 교육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에 지나지 않았다는 것이 참석자들의 이야기다. 한마디로 알맹이가 빠진 공청회였다.

2천억원대 사업 전체를 좌우할 1차 사업에서 학교 현장의 의견수렴도 제대로 거치지 않고 사업을 진행한다는 것은 결코 정상적이지 못한 진행 과정이다.

학생의 미래와 교육여건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스마트기기 선정과정에 문제점이 있었다면 원점으로 되돌려서 재검토에 들어가는 것이 맞을 것이다.